ETF 투자해야 하는 이유 & 투자할만한 반도체 ETF 3종 (편입종목, 수익률 비교) | 절세 전략
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 & 주식/ETF 투자

ETF 투자해야 하는 이유 & 투자할만한 반도체 ETF 3종 (편입종목, 수익률 비교) | 절세 전략

by 프위버 2024. 1. 19.

오늘은 퇴직연금(IRP)나 개인연금 계좌로 매수하면 좋을 반도체 ETF 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다. 다들 알다시피 연금 계좌는 세제 혜택을 주는 대식 개별 주식은 매매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ETF 로 접근해야 한다. 

 

ETF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 수익률 높은 반도체 ETF 3종 총정리

 

 


 

 

ETF란?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는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금융상품이다.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사고 팔 수가 있어 편리하다. ETF는 크게 패시브 ETF와 액티브 ETF로 나눌 수 있다. 


패시브 ETF는 S&P500, 나스닥100, 코스피200 등과 같이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말한다. 액티브 ETF는 지수를 추종하지 않고, 특정 산업이나 기업군에 집중 투자하는 ETF를 말한다.

 

 

 

ETF의 절세 효과

ETF는 매도 시에는 0.25%의  증권거래세가 면제된다. ETF분배금(주식의 배당에 해당)에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붙는다. 


매매차익 발생 시, 국내 주식으로 구성된 국내주식형 ETF는 비과세 상품이어서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를 과세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레버리지나 인버스 ETF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주의)


해외 거래소에 상장된 ETF는 해외 주식과 마찬가지로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를 과세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해외 ETF는 세제 혜택이 있는 연금 계좌(연금저축 또는 IRP계좌)로 매매하는 것이 이득이다. 


참고로, 연금계좌에서 발생한 매매차익과 배당 수익은 이연되어 인출할 때까지 과세하지 않으며, 적립금을 연금 형태로 수령하면 15.4%의 배당소득세보다 훨씬 낮은 3.3~5.5% 세율의 연금소득세만 내면 된다.  IRP계좌를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것이 가능한 나이는 55세 부터다.  

 

 

 

ETF 거래 방법

ETF는 일반 주식 거래하듯이 매수 매도 주문을 넣으면 된다. 참고로, ETF 거래시에는 시장가보다는 지정가로 거래하는 것이 좋다.  지정가로 매매 시, 내가 원하는 금액보다 더 비싸게 매수되거나 더 싸게 매도 되어 버리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반도체 ETF

반도체 ETF는 반도체 테마에 투자하는 인덱스 펀드다.  올해도 AI가 흥하면서 한국 반도체 주식들의 전망은 좋다고 하므로 투자 해봄직 하다. 개인적으로는 눈여겨보고 있는 ETF 3종을 정리 해보았다. 

 

1.  KODEX 반도체 ETF (091160)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반도체 ETF로 한국 시장의 대표 반도체 종목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뿐 아니라 기타 여러 반도체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 상장일: 2006.06.27
- 순자산 총액: 6,416억원
- 보수율: 0.45%
- 분배금: 분기 지급
- 지난 1년간 수익률: 44%
- 상위 10 구성 종목: SK하이닉스(21.96%), 삼성전자(19.18%), 한미반도체(4.95%), HPSP(4.14%), 리노공업(4.05%), DB하이텍(3.64%), 이오테크닉스(2.79%), 주성엔지니어링(2.27%), 원익IPS(2.19%), 하나마이크론(1.92%)

 


2. SOL 반도체 소부장Fn (455850)
신한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반도체 ETF로 이름처럼 여러 반도체 소부장들로 구성되어 있다.
- 상장일: 2023.04.25
- 순자산 총액: 3,143억원
- 보수율: 0.45%
- 분배금: 연 1회 지급
- 상장이후 수익률: 35%
- 상위 10 구성 종목: 한미반도체(10.82%), HPSP(9.39%), 리노공업(8.88%), 한솔케미칼(8.31%), 동진쎄미켐(6.12%), 이오테크닉스(6.10%), 솔브레인(5.55%), 주성엔지니어링(4.82%), 원익IPS(4.64%), 하나마이크론(4.21%)

 


3. KBSTAR 비메모리반도체액티브 (388420)
KB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반도체 ETF로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 밸류 체인(반도체 디자인 제조 패키징 테스트) 전반에 걸친 핵심 기업에 투자한다.
- 상장일: 2021.06.10
- 순자산 총액: 2,234억원
- 보수율: 0.5%
- 분배금: 분기별 지급
- 상장이후 수익률: 56%
- 상위 10 구성 종목: 삼성전자(13%), 리노공업(8.72%), 한미반도체(7.61%), 이오테크닉스(5.95%), 솔브레인(5.48%), ISC(5.16%), DB하이텍(4.49%), 주성엔지니어링(4.29%), 대덕전자(4.24%), 하나마이크론(4.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