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부동산 주택 담보 대출, 일명 주담대 대출의 한도에 대해 알아보겠다.
또한, 현실적으로 내가 감당 가능한 수준의 대출 규모도 어느 정도인지 한번 가늠 해보겠다.
주택 담보 대출 (주담대) 요건 완화
2022년 12월1일부터는 주담대 대출 요건이 완화되어 아래의 요건을 적용 받는다.
- 생애최초 주택 구매 시 주택담보대출비(LTV) 80% 까지 대출 가능 (최대 6억원)
- 투기/투기과열지구 내 시가 15억원이 넘는 아파트도 무주택자와 1주택자(기존 주택 처분조건부) 대상으로 주담대가 가능해짐
- 무주택자 및 1주택자에 대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는 50% 로 일원화됨 (최대 6억원)
- 서민이나 실수요자의 경우 최대 6억원 한도 내 70% 까지 LTV 가 우대됨
※ 서민/실수요자 요건에 충족하려면 (1) 부부합산 연소득 9천만원 이하, (2) (투기/투과지역) 주택가격 9억원 이하 또는 (조정대상지역) 8억원 이하, (3) 무주택세대주의 요건에 부합해야 하며, LTV 우대를 10-20% 포인트 적용받을 수 있음.
그런데 최근 금리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대출이 나온다고 해도 대출 이자를 생각하면 쉽사리 돈을 빌릴 수도 없다.
우리 은행 웹사이트에서 아무 아파트나 넣고 대출 금리를 계산해 보았더니 예상 금리가 6~7% 대로 조회되었다. 엄청난 수준이다…
금리 7% 수준을 가정하고 계산을 해보면
1억을 빌릴 경우, 매달 내야 하는 이자는 1억 * 7% /12 = 약 오십팔만삼천원
2억을 빌릴 경우, 매달 내야 하는 이자는 2억 * 7% /12 = 약 백 십육만원
3억을 빌릴 경우, 매달 내야 하는 이자는 3억 * 7% /12 = 백 칠십 오만원
4억을 빌릴 경우, 매달 내야 하는 이자는 4억 * 7% /12 = 약 이백 삼십만원
6억을 빌릴 경우, 매달 내야 하는 이자는 6억 * 7% /12 = 삼백 오십만원
금액이 증가할 수록 매달 부담해야 하는 이자가 어마어마 하다. 내 경우에는 지금의 내 벌이 수준으로는 2~3억 이상 빌릴 경우 감당하기 힘들 것 같다.
출처: 대한민국정책브리핑, 우리은행 금리조회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남 개포자이 프레지던스 (개포주공 4단지 재건축) – 아파트 정보 및 단지 내 어린이집과의 갈등과 입주 중단 사태 총정리 (0) | 2023.03.12 |
---|---|
2023년 3월 정부의 부동산 청약 중도금 대출 규제 완화: 분양가 상한 폐지, 1인당 5억원 보증한도 폐지, LTV 70%까지 대출 가능 (0) | 2023.03.07 |
무순위 청약 조건 폐지 | 경기도 주민도 둔촌주공 (올림픽파크크레온) 청약 가능! (0) | 2023.03.05 |
1기 신도시 재건축 특별법? 용적률 500%? 리모델링 VS 재건축 |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0) | 2023.03.04 |
과천 대장아파트 알아보기 - 과천역 & 정부청사역 근처 래미안슈르 / 위버필드 등 (0) | 2023.03.01 |
댓글